공부가좋다

간접의문문 어순 완전정복- 로즈리 그래머홀릭

포포풀라 2017. 7. 24. 12:52

※ 학습목표

간접의문문 어순 완전정복

 

 

 

1. 간접의문문 기본 어순 : (의문사+주어 동사)

 

2. 간접의문문 판별법 

  1) 평서문일 것.

  2) 의문사가 있을 것.

  3) 의문사가 해석되어야 함.

 

ex.1) I don't know who you are. 나는 네가 누구인지 모른다.

→ 간접의문문의 판별법에 따라

1) 마침표로 끝난 평서문이고

2) 의문사(who)가 있고

3) 의문사 who가 '누구'라고 해석되므로

▶위의 문장은 간접의문문으로 판별됨.

    

ex.2) What do you think who you are?

→ 의문사(who)가 있고 '누구'라고 해석되지만 

마침표가 아닌 물음표로 끝남.

▶이 경우 물음표는 의문사 What 때문에 붙은 것임.

 

문장이 길고 해석이 안 될때

1) 동사부터 찾는다.

→ 동사를 기준으로 동사 앞에 있는 모든 것이 주어

2) 문장에 동사가 여러개 보일 때

관계사, 분사, 전치사, 부사, 콤마콤마(, ,), 하이픈(-), 콜론(:), 쎄미콜론(;) 등을 묶는다.

    묶을 때는 다음에 묶이는 단위 앞까지 묶는다.

▶ 묶고 난 나머지 중에 있는 것이 진짜 동사이고 동사 앞부분이 주어임.

 

 

3. 간접의문문 어순

불완전한 문장과 완전한 문장, 즉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만들 때 문장의 어순에 주의 해야 한다.

 

1) 앞 문장(불완전한 문장)은 그대로 쓰고, 의문사가 있는 뒷 문장(완전한 문장)은

  의문사+주어+동사 순으로 씀.

Do you know? + Why was she angry?

  → Do you know why she was angry?

 

2) 1)의 상황에서 의문사가 주어로 사용된 경우 의문사가 주어이므로

  의문사+동사 순(즉, 두 문장을 그대로 쓴다).

  → Do you know? + What is the problem?

   → Do you know what is the problem?

 

3)  의문사가 없는 경우의문사 대신 if 또는 Whether을 쓰고+주어+동사 순으로 씀.

 → Do you know? + Is he angry?

→ Do you know if(whether) he is angry?

 

4) 불완전한 문장(앞문장)의 동사가 think류 일 때  의문사를 문장 맨 앞으로 뺀 후

   뒷문장(의문사가 들어 있던 완전한 문장)은 주어+동사 순으로.

  ※ think 류 : 게임비서(guess, imagine, believe, suppose)

Do you think? + Why was she angry?

  Why do you think  she was angry?

 

이상은 로즈리의 그래머홀릭 내용 일부를 참고했습니다.